녹색, 붉은 빛은 멜라토닌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, 청광(BLUE LIGHT)은 멜라토닌 억제효과가 가장 큽니다. 장시간 청광에 노출되면 안구건조, 눈 피로, 두통, 황반변성 촉진 뿐 만 아니라 인체 24시간 생체시계에 영향을 주어 건강에 악역향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.
녹색, 붉은 빛은 멜라토닌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, 청광(BLUE LIGHT)은 멜라토닌 억제효과가 가장 큽니다. 장시간 청광에 노출되면 안구건조, 눈 피로, 두통, 황반변성 촉진 뿐 만 아니라 인체 24시간 생체시계에 영향을 주어 건강에 악역향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
---|---|---|---|
9 |
빛과 유해광선
![]() |
OTOS | 2017.06.11 |
8 |
자외선의 유해성
![]() |
OTOS | 2017.06.11 |
» |
빛의 특성과 멜라토닌 관계
![]() |
OTOS | 2017.06.11 |
6 | 멜라토닌이란 | OTOS | 2017.06.11 |
5 | 야간 근무자들의 위험성 | OTOS | 2017.06.11 |
4 |
고해상도 렌즈
![]() |
OTOS | 2017.06.11 |
3 | 근골격계 질환 정의와 발생 및 위험작업 | OTOS | 2017.06.11 |
2 |
주요 근골격계 질환 발생 원인 및 증상
![]() |
OTOS | 2017.06.11 |
1 |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규칙 | OTOS | 2017.06.11 |